제목 : 이것이 인공지능이다 하룻밤에 읽는 AI의 모든 것
분류 : IT >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일반
지은이 : 김명락
출판사 : 슬로미디어
출간일 : 2020.07.24
독서일 : 2021.12.10
선정이유 :
지난 달인가.. 인공지능에 한창 관심이 많아서 여러 강의와 세미나를 들으러 다녔음.. 머신러닝도 좀 해보고.. 생각해보니 막상 읽은 책은 없어서.. 도서관 신착도서에 있길래 그냥 대여해봄 얇아서 심심할 때 읽으려고 대여함
한 줄 후기 :
기본적인 배경만 다룸
* 언제나 그렇듯.. 순전히 내 리마인드용으로 작성
💫대한민국의 닷컴버블 (1998-1999)
-인터넷 주소로 연결되는 웹사이트로 사업을 하겠다는 계획만 세우면 투자자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이거 완전 지금 아닌가..;;특히 인공지능 분야..)
-스타트업 거품이 한창, 2005년 쯤에는 많은 IT벤처 회사들이 폐업
-이 스타트업이 틀렸다기 보다는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걸렸던 것
-버틴 회사들은 초우량기업이 됨
닷컴버블 시기를 되돌아보면, 누구나 인터넷 기술을 잘 알아야 될 것처럼 오해
하지만, 인터넷 기술 자체는 전문가에게 의뢰하면 충분한 것이었고,
오히려 이 기술이 앞으로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를 이해하고 대비하는 사람이 앞서 나감
HTML 문법을 몰라도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데 문제가 없고,
서버 설정을 할 줄 몰라도 이메일을 얼마든지 주고받을 수 있는 것처럼,
인공지능 기술을 잘 몰라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 됨
(내가 했던 생각...
처음에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모두 포기할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이라 고민이 많았는데
이런 저런 이유로 블록체인으로 선택.. 그 이유 중 하나)
💫 IT, DT, 컴퓨터공학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양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인포메이션으로 선별했는지 여부
발생한 데이터를 선별하지 않고 모두 수용했다면 올데이터 즉 빅데이터인 것
3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인 it는 인간이 선별한 인포메이션에서만 결과를 도출한다면,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은 dt는 전체 자료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
it는 사고력이 중심이 되어 인포메이션 처리
반면 dt는 인간의 사고력 안에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올데이터 안에서 답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
자라는 매장 안과 밖의 cctv로 사람들 옷차림 수집
유행하는 색상 원단을 대량 확보해 옷을 만들고 빠른 소진과 낮은 재고율을 얻음
일반적인 패션브랜드에서는 디자이너끼리 서로 상의 후 다음 시즌 유행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옷을 만드는 형식
사람의 판단력 vs 데이터
스포츠 분야에서 인공지능 솔루션이 개발되고 검증된 후
스포츠가 아닌 다른 분야로 확대되는 사례가 많음
스포츠는 인공지능의 가장 좋은 놀이터고 활용되는 수준이 가장 높은 분야
그래서 인공지능이 스포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관심을 가지면 통찰력을 얻기 좋음
전처리 과정에서는 결측치 처리, 정규화 등의 작업으로 훈련데이터가 에이전트를 훈련시키기 용이하게 함
전처리된 훈련 데이터는 에이전트를 어떤 방향으로 훈련시킬지 하는 의도를 가져서는 안됨
금융, 에너지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적용 성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해야 함. 그런데 현실 세계의 금융, 에너지 분야는 매우 다양한 변수들이 얽혀있음
그리고 금융, 에너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림
소프트웨어 개발팀이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개발 도구를 다루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다. 보통 인공지능 개발도구 대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전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어있음
인공지능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퍼
나머지 80은 해당 분야를 공부하면서 협업하는 일
즉, 빅데이터 수집, 저장, 전처리, 통계 등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사람에게 적용하고 활용될지 고민하는 것
인문고전 전공, 정보통계, 경영 등 다양한 역량이 필요